▶ 신,구약 기독론의 고찰
○ 들어가는 말
기독론은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을 중심으로 하는 신학 분야입니다. 이 분야에서의 논쟁은 주로 그리스도의 인격과 본성에 관련된 주제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그리스도의 본성과 하나님과의 관계, 그리스도 안에서의 신성과 인성 간의 관계 등이 주요 논쟁의 대상입니다. 기독론을 연구하는 경우, 이러한 논쟁들을 바탕으로 하여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이 성경의 어떤 부분에서 어떻게 증언되었는지를 탐구해야 합니다.
오늘은 신,구약성경에 나타난 기독교(기독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구약성경에 기독교(기독론)
○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그리스도의 칭호
1. 히브리어와 헬라어의 표기 히브리어: מָשִׁיחַ 헬라어 (70인역): χριστός
2. 의미와 배경 그리스도라는 칭호는 “기름 부음을 받은 자”를 의미합니다.
이는 히브리인들 사이에서 신이나 왕에게 특별한 임무를 맡기기 위해 기름을 머리에 부어 성별하는 전통적인 예식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예언자들은 이 개념을 종교적 의미로 강화시켰으며, 이스라엘은 정치적, 종교적으로 해방과 다윗 왕국의 재건을 기대하며 이 칭호를 메시아라 불렀습니다. 이 칭호는 특히 이스라엘이 파괴된 후 강조되었습니다.
3. 주요 칭호
1) 처녀의 후손 (창세기 3:15, 마태복음 1:23, 25; 누가복음 1:34, 35; 갈라디아서 4:4)
2) 평강의 왕 (이사야 9:2-7, 11:1-5, 에베소서 2:14-18)
3) 평화와 화해의 구현자 (미가 5:2-5, 스가랴 9:10)
4) 고난의 종 (이사야 53장)
5) 지혜 (잠언 8장)
6) 임마누엘 (이사야 7:14)
7) 구약성서에 나타난 그리스도론의 신학적 해석
4. 메시아의 예언 구약성서는 이스라엘이 고통과 절망 속에서 미래의 희망을 기대했음을 보여줍니다.
예언자들을 통해 하나님이 다윗 왕국을 재건할 새로운 왕을 보내실 것이라고 약속했고, 그 왕을 메시아라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1) 임마누엘의 예언 (이사야 7:14) 이 사람이 태어날 것을 예고합니다.
2) 평강의 왕으로서의 예언 (이사야 9:6-7) 그는 평강의 왕으로 나타날 것입니다.
이 예언들은 다음과 같이 풀이됩니다:
이사야 9장에서의 “큰 빛”의 약속은 어두운 상황과 죽음의 지배에서 사람들을 기쁨으로 이끌며, 정치적인 억압과 군사적 속박을 없애 줄 평강의 왕을 예고합니다 (이사야 9:2-5).
이사야 11장에서는 9장의 희망을 더욱 발전시켜 평화의 왕이 다윗의 보좌에 앉아 다스릴 것을 예언합니다 (이사야 9:7).
○ 이스라엘을 다스릴 지도자가 올 것이라는 예언 (미가 5:2; 예레미야 23:5-6; 스가랴 9:9)
이 예언들은 다음과 같이 설명됩니다:
미가 5장에서는 통치자의 출생과 임무에 대한 예언을 전합니다 (미가 5:2, 4a, 6b). 이 예언은 한 집단에 대한 메시지를 통해 더욱 확장됩니다 (미가 5:1, 2b, 3b-4a). 미가는 이사야와는 다르게 메시아가 예루살렘 왕조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고 강조합니다.
이와 같은 구약성서의 예언들은 메시아의 임무와 특성을 설명하며, 그가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한 인류의 희망임을 강조합니다.
▶ 신약 성경을 통한 기독교(기독론)
○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의 고백과 증언으로 기술되어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 믿음의 시각에서 예수를 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예수 그리스도가 누구인가를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성경에서 어떻게 그가 기술되었는지를 먼저 탐구해야 합니다. 기독론은 역사적 예수를 중심으로 출발해야 할까요, 아니면 예수의 공동체에서 시작해야 할까요?
불트만: 역사적 예수는 마르코의 별실에서 출발하며, 사도들의 공동체에 의해 그리스도로서 선포되었습니다. 역사적 예수에 대한 접근에서 불가지론적 입장을 취합니다.
에벨링: 예수의 역사적 인격이 없다면 그의 중요성은 신화적인 것에 불과할 것입니다.
케셈만: 역사적 예수와 케리그마의 그리스도 사이에 동일성을 주장하며, 복음서는 예수의 역사적 모습을 전달한다고 말합니다.
본캄: 복음서의 전승들은 예수의 활동과 인격을 특정 시점과 맥락에서 기록하고 있습니다.
파넨베르그: 그리스도론의 출발점은 2000년 전의 역사적 예수에 있으며, 그리스도론은 그의 부활을 통해 그의 의미를 근거 지어야 합니다.
몰트만: 예수 그리스도는 십자가와 부활을 통해 역사적이고, 동시에 부활한 그리스도입니다.
○ 기독론의 주요 논점은 기독교적인 타이틀들에 집중됩니다. ‘그리스도’, ‘주’, ‘인자’, ‘하나님의 아들’ 등의 타이틀이 중요한 주제로 떠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