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웨슬레의 생애와 그의 기독론 연구
1. 들어가는 글
요한 위슬레는 근대의 개신교의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로 현대의 감리교, 성결교, 침례교, 오순절 교회 등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 인물로 17세기 영국을 중심으로 당시 개혁운동을 일으킨 인물로 역사적 의미는 매우 크다. 모라비안 교도들로부터 회심은 그의 전 생애를 바쳐 기독교에 쉬지 않고 헌신하게 되기까지 그가 갖고 있는 기독 사상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이해를 알아봄으로써 올바른 기독교관을 세우고 우리의 신앙 자세를 확고히 다져나가는 계기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2. 웨슬레의 생애와 역사적 배경
1) 웨슬레의 생애
요한 웨슬레(John Bengamin Wesley, 1703-1791)는 1703년 6월 13일에 영국의 동북에 위치한 링컨주의 엡워드라는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엡워드교회의 목사였다. 그의 아내 수산나와 사이에서 15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그의 아버지는 근엄하고 양심적이며 경건한 목회자였다. 부모는 본래 알미니안 주의자였다. 그들은 칼빈의 무조건적인 예정을 말하는 예정론을 반대하였다.
웨슬레는 1720년 6월 24일에 옥스퍼드 대학에 입학해서 1724년에 학사학위(B.A)를 받고, 1727년 2월 14일에 석사학위(M.A)를 받았다. 1728년 성공회에서 목사안수를 받았다. 1729년 동생 찰스 웨슬레와 몇 명이 모여 신성클럽(Holy club)을 만들어 지도자가 되었다. 그들은 여기서 ‘메소디스트(Methodist)’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웨슬레 생전에는 ‘감리교’라는 말을 듣지 못했다. 웨슬리는 1738년 5월 24일에 모라비안 교도들로부터 올더스게이트(Oldersgate)의 경험을 하고 본격적인 복음 전도에 착수하게 된다. 그 이전에는 나약한 성공회 전도자였으나 올더게이트 이후 그의 생애를 통해 매우 열정적으로 개혁주의 복음을 전파하고 변화된 삶을 살며 1791년 3월 9일 시티 로드 교회당 정원에 장사되었다.
2) 구원론의 배경
당시의 시대적, 사회적 배경을 살펴보면 웨슬리의 부흥운동은 18세기의 지적인 기풍을 이루고 있는 합리주의와 자연신론을 대항하여 복음적인 그리스도교의 적극적 주장으로서 출연하게 되었다. 분명히 18세기는 현저한 과학적 발전의 시대였고, 또한 정치적 변동의 급격한 시기이기도 하였다. 특히 17세기 말, 18세기 초 영국에는 계몽주의 정신이 편만해 있었는데 그 중요한 결과는 종교에 있어서 합리주의 발전(development of rationalism in religion)이었다.
요한 웨슬레의 신학 형성의 시대적 배경을 특징짓는 두 번째 요소는 그의 신앙부흥운동이 18세기의 특징 가운데 하나로 사회의 부도덕과 부패의 경향에 맞서는 도덕갱신 운동으로서 등장했다는 것이다. 당시 하층 계급의 영적 상태는 거의 파멸의 지경이었다. 대중들의 오락은 야비하고, 문맹은 만연되고 법률 집행은 야만적이요, 감옥은 질병과 죄악이 평만했다. 당시의 술 소비는 영국 사상 최고조에 이르렀다. 젊은 이들의 결혼서약은 이미 신성한 것이 되지 못하였고 상류 귀족사회는 회의주의에 빠져 종교에 냉소적 이였다.
이러한 정세에 있어서 웨슬레의 과업은 영국의 도덕과 종료를 회복시키는 데 있었다. 그래서 그는 사변적 신학을 피하고 다만 깨끗하고 관대하며, 건전한 생활을 하며 실제적으로 “인간 가운데서 모범되신 그리스도의 산 모습”이 되려 하였다. 그래서 웨슬리는 그의 설교와 그의 복음적 운동의 타당성을 변호하면서 도덕적 성취, 인간생활의 변화, 신앙의 열매 등을 강조하였던 것이다.
사상적 배경으로 웨슬리의 사상가 신학의 형성과정에 있어서 첫째로 손꼽을 것은 그의 가정에서의 영향이다. 그의 부모들은 원래 비 국교에서 영국 국교로 전향을 하였는데 웨슬리는 자연히 부모들로부터 그 신학사상을 흡수하였다. 특기할 것은 양친 모두가 칼빈의 예정론을 부정하였다. 웨슬리의 부모는 다 같이 만인구원설을 믿었으며 인간의 자유의지를 하나님이 속박하지 않는다고 믿었고 웨슬리도 그의 신학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받은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대학시절 그가 읽었던 세 권의 책이 그의 사상과 신앙, 인격 등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그것은 제레미 테일러 감독의 ‘거룩한 삶과 죽음’, 중세기 수도사 토마스 아켐피스의 ‘그리스도를 본받아’, 또 하나는 윌리암 로우의 ‘그리스도의 완전론’이다.
3) 니케아신조 전문
우리는 한 분 하나님 아버지 전능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모든 것을 만드신 자를 믿는다. 또한 한 분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으니, 이는 아버지로부터 특유하게 나시었고 즉, 아버지의 본질로부터 나신 하나님으로 부터의 하나님이시요, 빛으로부터 빛이시요, 참 하나님으로부터의 참 하나님으로서 출생하지도 만들어지지는 아니하시었고, 아버지와 동일 본질이시다. 하늘에 있는 것이나 땅에 있는 것이나 모든 것이 다 그를 통하여 만들어졌다. 그는 우리 인간들을 위하여 그리고 우리의 구원을 위하여 내려오시고 성육신 하시고 사람이 되시었다. 그는 고난을 받으시고 사흘 만에 다시 살아 나시사 하늘에 오르시었고 산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시기 위하여 오신다. 또한 성신을 믿는다. 그러나 다음과 같이 말하는 자들은 즉, “그는 계시지 않은 때가 있었다. 또한 그는 없는 것들로부터 생겨나셨다.”고 말하거나, 또는 하나님의 아들이 어떤 존재물이나 본질로부터 되었다거나 창조되었다거나 변할 수 있다거나 주장하는 자들을 가톨릭적 사도적 교회는 정죄한다.
두 번째로 중대한 영향을 받은 것은 웨슬리가 옥스퍼드 대학으로 가면서 조나단 에드워드가 쓴 ‘노드햄톤 대 부흥 운동사’를 읽게 되었는데, 그는 이 책에서 많은 감동을 받았다. 성령의 역사와 표적에 대하여 공감을 가지고 성공적인 부흥 운동의 요인을 삼았다고 볼 수 있으니 아우틀러 같은 이는 웨슬리가 이 책을 읽음으로 받은 충격은 올더스게잇의 체험에 못지 않은 사건이었다 라고까지 말한다.
2. 웨슬레의 전통적 기독론의 수용
1) 니케아-칼케돈의 정통주의 기독론
웨슬레의 전통적 입장을 알 수 있는 것은 그가 가톨릭교도들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① 하나님의 아들인 예수 그리스도의 영원한 세대, ② 하나님 아버지 본성과 일치, ③ 세계의 메시아 및 구세주인 예수, ④ 대 예언자, 대 제사장, 왕이신 예수, ⑤ 만유의 주, 우리의 주님, ⑥ 그리스도의 이중적 본성과 처녀탄생, ⑦ 고통, 죽음, 부활 및 승천, ⑧ 그리스도의 재림과 심판 등을 고백하고 있다. 많은 부분에서 사도신경을 그대로 반영하며 칼케돈의 신조(A.D. 451)를 인정한다. 또한 영국교회의 39개 신조 중 제2조 “ 말씀이 육신이 된 아들에 관하여”의 내용과 고백이 들어 있다.
2) 웨슬레의 삼위일체론와 기독론
니케아-칼케돈의 삼위일체론을 그대로 수용하는 입장에 있다. 특히 초대 교회의 A.D. 300경의 동방정교회의 사상과 일치를 보인다. 이러한 점은 기독교이 전통을 중요시하는 웨슬레의 입장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므로 개신교의 정통주의에 일치한다.
그리스도의 신성은 삼위일체의 전제에서 가능하다.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제2위격으로 하나님의 본질적이고 필수적인 모든 속성을 가졌는데 곧 완전한 신성이다. 성부성자의 결합은 신적인 ‘본질’, ‘속성’ 그리고 영광의 결합이다.
3. 웨슬리의 기독론 :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
1) 그리스도의 사역과 인격
웨슬레는 완전한 신성과 인성을 주장한다. 예수가 완전한 신성을 소유하고 하나님이 그의 육체 안에 거하셨다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가 완전한 인간성을 소유하고 인간의 모든 속성을 가지고 있다.
두 개의 완전한 본성, 즉 신성과 인성이 하나의 품격으로 연합되어 절대로 나누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는 한분 그리스도시며 참 하나님이시며 또 참 사람이시다.
웨슬레가 비록 양성을 긍정하지만 그리스도의 신성을 인성보다도 더 강조하는 부분이 있는데 여기에 대해 같은 사역자였던 그의 동생 찰스 웨슬레가 작곡한 찬송가 6천여개 중에 예수의 지상 생애를 찬송한 것은 단지 2개였다.
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그 외의 그리스도의 신성과 속죄, 구원을 노래하고 있으며 성령에 관한 시가 유난히 많다. 이러한 면에서 보면 웨슬레 형제의 신성 편향의 기독론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중보자(mediator) 역을 감당하기 위해서 그리스도의 신성이 더욱 중요하게 생각한 것 같다. 그러나 신성을 강조하면 속죄 주로서 그리스도가 약화될 수 있는 약점이 있다.
2) 웨슬레의 기록론에 대한 주요 관심사
웨슬레의 기독론에 대한 주요 관심사는 구원론이다. 웨슬레는 형이상학적인 사변적인 것을 피하고 인류의 구원에 대한 관심이 많으며 복음주의적이며 실용론적인 측면이 강한 복음주의자이였다. 그의 성결론은 인간의 모습과 신의 영역인 것으로 주로 신적인 요소로도 볼 수 있는 것이지만 사람이 하나님의 품성인 성결에 대한 인습으로 이론적이 것이 아니라 사람이 실제 체험적이고 변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는 몸의 성결뿐만 아니라 신의 성품인 마음의 성결까지도 주장하였다. 이것은 한 개인의 신적 성결을 넘어 사회의 성결로 넘어가는 것을 주창한 그는 그리스도의 인격은 그리스도의 사역의 견지에서 설명하고 있다. 한영태, 삼위일체 하나님의 성결에 관한 연구, ‘요한 웨슬레 신학의 관점에서’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0.